요즘 글로벌 기업들이 지원자의 이력서에서 가장 먼저 보는 것은 뭘까?
몇 년 일했는가? No.
무슨 대학 나왔는가? 더더욱 No.
이제는 단 하나,
무슨 문제를 해결해봤는가가 기준입니다.
구글은 전체 채용의 70% 이상을
학위 무관으로 진행하고,
IBM은 600개 이상 직무에서
학력 요건을 삭제했습니다.
애플, 테슬라, 메타(전 페이스북)도 학위보다 스킬과 실행력을 강조합니다.
EY, 딜로이트 같은 글로벌 컨설팅 회사들도
이제는 학벌보다
케이스 인터뷰와 실전 과제 수행 능력을 먼저 봅니다.
아마존, 넷플릭스, Salesforce도
직무 중심 과제 기반 인터뷰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물론 한국은 아직 케이스 바이 케이스입니다.
토스, 당근, 무신사 같은 유명 Tech 기업은
이미 스킬 중심 문화로 이동했지만,
전통 대기업들은 여전히
출신 학교와 연차를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단순한 관성 때문만은 아닙니다.
한국 특유의 경쟁문화 속에서
학벌로 증명해온 사람들이
조직의 결정권자가 되었고,
그들의 경험과 기준이 암묵적으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나도 이렇게 올라왔으니 너도 증명해봐”라는 무의식의 룰이 여전히 작동하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는 분명합니다.
이제는 몇 년을 일했는가보다
어떤 문제를 다뤄봤는가가
더 많은 것을 말해주는 시대라는 것.
눈에 보이는 숫자보다 결과가,
정해진 길보다 자신만의 언어로 풀어낸 경험이
더 큰 설득력을 가집니다.
커리어의 방식도,
말하는 방법도 조용히 바뀌고 있습니다.
지금, 그 언어를 바꿀 차례입니다.
#학력보다실력
#스펙보다스킬
#학력보다실력 #스펙보다스킬 MyNext의 핵심 서비스
- MyNext 커리어 코칭 서비스 →
- MyNext 오픈 포지션 →
MyNext의 이야기
- Thomas (김기흥) CBO의 커리어 여정 →
- 고객 성공 사례 (Testimonials) →
- 자주 묻는 질문 (FAQ) →
- Contact Us 바로 가기 →